경제용어사전

사회적기업

[social enterprise]

사회적기업은 취약계층에 사회서비스나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이익을 창출하는 기업을 말한다. 사회적기업은 이윤 극대화를 목적으로 하는 일반 기업과 달리 대부분의 이윤을 일자리 마련이나 사회통합, 사회서비스 제공, 지역경제 지원 등의 목적 실현을 위해 재투자한다.


정부는 2007년 제정된 사회적기업법에 따라 고용부 장관 인증을 받은 사회적기업을 일자리 제공형, 사회서비스 제공형, 지역사회 공헌형, 혼합형, 기타형 등 목적에 따라 분류하고 ‘직접 지원’을 통한 육성책을 펼쳐 왔다.


한국 사회적 기업의 공식적인 시작은 2007년 10월 ''아름다운가게''가 고용노동부로부터 사회적 기업 1호로 인증받으면서부터다.
2023년 6월 기준으로 활동 중인 사회적기업은 3597곳에 달하고, 신규 인증받은 기업도 2020년부터 매년 400곳을 훌쩍 넘는다. 하지만 사회적기업이 재정 지원이나 공공기관 우선 구매 혜택 등을 받으면서 정부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바람에 자생력을 갖춘 기업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세금만 빼먹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 실손의료보험

    질병 또는 상해로 인하여 발생한 실제 의료비를 보상하는 보험으로 민간 보험사에서 취급하는 ...

  • 스크린 상한제

    스크린 상한제는 관객이 몰리는 주요 시간대에 특정 영화의 상영관 스크린 수를 제한하는 제도...

  • 생산자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 PPI]

    모든 상품의 가격변동을 대표하는 지표다. 일정 시점의 연평균 물가를 100으로 잡고 가격변...

  • 사이버 여피[cyber yuppie]

    정보 슈퍼하이웨이의 시대에 새로이 등장하고 있는 신흥계층.사이버 여피의 장점은 비용절감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