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내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 GDP]

한 나라의 경제규모를 나타내는 지표. 가계·기업·정부 등 경제 주체들이 일정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서비스의 가치를 시장가격으로 모두 합한 것. 최종생산물의 가치를 모두 더해서 계산할 수도 있고 각 생산단계에서 추가된 부가가치를 더해서 구할 수도 있다.

쉽게 말해 한 국가의 자동차, 신규 주택, 전자제품, 식료품 등 재화의 판매가격과 의료비와 같은 서비스 가격, 그리고 특정 기간동안 수입한 제품의 가격표를 모두 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아직 팔리지 않고 창고에 재고로 쌓여있는 상품도 포함되지만 중간재 가격은 들어가지 않는다.
단순한 소득이전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 것이 아니므로 포함되지 않는다.
'시장가치'란 GDP는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으로 평가하므로 원칙적으로 시장에서 거래되는 것만 포함한다.

관련어

  • 국세통합전산망[Tax Integrated System, TIS]

    전국민의 과세정보가 수록·관리되고 있는 국세청의 전산망. 3년간의 준비작업을 거쳐 1997...

  • 구분계리

    유배당 상품과 무배당 상품의 자산을 독립된 방식으로 회계처리하는 것. 자산운용을 통해 발생...

  • 그루밍족[grooming]

    마부(groom)가 말을 빗질하고 목욕을 시키는 데서 유래한 신조어로서 패션과 미용에 아낌...

  • 기업어음[commercial paper, CP]

    기업이 만기 1년 미만의 단기자금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융통어음. CP를 발행하면 은행, 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