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내총생산

[Gross Domestic Product, GDP]

한 나라의 경제규모를 나타내는 지표. 가계·기업·정부 등 경제 주체들이 일정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서비스의 가치를 시장가격으로 모두 합한 것. 최종생산물의 가치를 모두 더해서 계산할 수도 있고 각 생산단계에서 추가된 부가가치를 더해서 구할 수도 있다.

쉽게 말해 한 국가의 자동차, 신규 주택, 전자제품, 식료품 등 재화의 판매가격과 의료비와 같은 서비스 가격, 그리고 특정 기간동안 수입한 제품의 가격표를 모두 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아직 팔리지 않고 창고에 재고로 쌓여있는 상품도 포함되지만 중간재 가격은 들어가지 않는다.
단순한 소득이전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 것이 아니므로 포함되지 않는다.
'시장가치'란 GDP는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으로 평가하므로 원칙적으로 시장에서 거래되는 것만 포함한다.

관련어

  • 과표현실화율

    각종 세금은 과세표준(과표)에 세율을 곱해서 산출하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서 과표의 크기가...

  • 권종

    유통중인 화폐의 종류를 말한다. 우리나라 지폐의 종류로는 5만원권, 1만원권, 5000원권...

  • 국유재산관리기금

    국회·법원을 포함한 중앙관서의 청·관사 등 행정재산의 체계적·효율적 취득 등을 위해 201...

  • 가중평균금리

    금융기관의 실제 여수신금리 동향을 알아볼 수 있는 지표. 시중 실세금리와는 다른 개념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