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정보전염병

[infodemics]

정보(information)와 전염병(epidemics)의 합성어.

정보화, 세계화로 잘못된 소식이나 악성 루머 혹은 컴퓨터 바이러스 등이 순식간에 퍼져나가는 것이 전염병과 비슷하다는 데서 생겨났다.

미국의 정보분석 회사인 인텔리브리지(Intellibrdge)사의 데이비드 로스코프(David Rothkopf)회장이 2003년 5월 11일 워싱턴 포스트에 기고한 글을 통해 정보 전염병(information endemic)을 `인포데믹(infordemic)'으로 명명하면서 처음 사용됐다.

그는 인포데믹이 한번 발발하면 주류미디어 뿐 아니라 인터넷 사이트, 휴대전화 등을 통해 확산되고 있으며 일단 확산되면 정치 및 경제에 엄청난 타격을 입힌다며 인포데믹의 예방을 위해서는 미확인 정보가 유포되기 전 조기경보 체제를 가동, 즉각 근원을 찾아 재빨리 확인된 정보를 전파하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주장했다.

  • 중도환매통화채

    일정 기간만 보유하면 만기가 되기 전이라도 한은이 현금으로 되사는(중도환매) 통화채를 뜻한...

  • 집단소송[class action]

    기업 제품이나 서비스의 하자로 유사한 피해를 본 사람이 여럿 있을 때 일부 피해자가 전체를...

  • 조세감면규제법

    1998년 12월 30일 조세특례제한법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정부가 특정 산업의 육성이나 ...

  • 자본금[equity capital, capital stock]

    채권자 보호의 관점에서 회사의 자산을 사내에 유보시키는 최소한도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통 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