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워싱턴 컨센서스

[Washington Consensus]

1990년 미국 국제경제연구소(IIE)가 남미 국가들의 경제위기 해법으로 제시한 세제개혁, 무역ㆍ투자 자유화, 탈규제화 등 10가지 정책으로 미국식 시장경제체제를 주 골자로 한다.

미국의 정치경제학자인 존 윌리엄슨이 1989년 자신의 저서에서 제시한 남미 등 개도국에 대한 개혁처방을 ‘워싱턴 컨센서스’로 명명한 데서 유래되었다.

이후 1990년대 초 IMF와 세계은행, 미국 내 정치경제학자들, 행정부 관료들의 논의를 거쳐 ‘워싱턴 컨센서스’가 정립되었다. 이후 미국 주도 신자유주의의 대명사로서 워싱턴 컨센서스는 동구 사회주의국가 체제 전환과 1990년대 후반 아시아의 경제위기 극복 과정에서 주요 개혁정책으로 채택됐다.

이 용어는 반세계화주의자들에 의해 미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금융자본주의의 거대한 음모 내지는 술수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또한 중남미에서 좌파정권 도미노를 부른 원인으로 워싱턴 컨센서스의 실패가 지목되면서 베이징 컨센서스가 보다 현실적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 인지무선통신[Cognitive Radio, CR]

    서로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서비스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파환경을 측정하여 ...

  • 완전자율주행[full self-driving, FSD]

    테슬라가 개발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운전자가 개입하지 않아도 도심과 고속도로에서 차량이 ...

  • 유기농기능사

    유기농기능사는 유기물과 미생물 등 자연 자재만을 사용하는 농법에 관해 생산부터 품질 인증의...

  • 연금 수익비

    보험료로 납부한 금액에 비해 얼마만큼의 연금을 받는지 보여주는 비율. 퇴직 후 받는 연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