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하이브리드 채권

[hybrid bonds]

채권처럼 매년 확정이자를 받을 수 있으면서도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증권. 즉 주식과 채권의 성격이 뒤섞인 이종 채권으로 우리나라에는 2003년 4월 처음 도입되었다. 하이브리드 채권은 만기가 30년 이상이고 일정한 조건하에서 기업이 만기를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총자기본자본의 15%의 안의 범위에서 자기자본에 포함된다. 주로 은행이 자본금을 확충하고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한다. 그러나 15%를 초과하는 하이브리드 채권은 기본자본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하이브리드 채권은 일반채권에 비해 발행자가 부도날 때 원리금의 상환순위가 하위이고 이자가 비누적적으로 지급되는 등 일반 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일반채권보다 금리가 높다.

관련어

  • 환덤핑[excahnge dumping]

    일본이 엔화가치 하락을 통해 경기를 부양하는 과정에서 "환덤핑(excahnge dumpin...

  • 항체·약물 결합 치료제[Antibody Drug Conjugate, ADC]

    암세포를 찾아가는 항체에 암세포를 죽이는 약물(페이로드)을 결합한 치료제다. '항체...

  • 하이브리드 안벽[hybrid quay-wall]

    항만 내에서 이동가능한 지능형 부두. 항만의 육지 쪽에 설치한 안벽(부두)을 따라 해안 쪽...

  • 한경다우지수

    1983년 증권거래소에서 한국종합주가지수를 시가총액식 주가지수로 개편함에 따라 종래 사용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