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합계출산율

[total fertility rate, TFR]

한 여성이 가임기간(15-49세)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의 수를 말한다. 국가별 출산력 수준을 비교하는 주요 지표로 이용된다.

한국의 합계출산율(15~49세 가임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 수)은 1970년까지만 해도 4.71명에 달했다. 정부가 앞장서서 ‘둘만 낳아 잘 기르자’, ‘덮어놓고 낳다 보면 거지꼴을 못 면한다’며 산아 제한정책을 펼 정도였다. 출산율은 정부의 가족정책과 초혼연령 상승, 미혼율 증가 등의 영향으로 지속적으로 낮아져 2005년 1.22명으로 급감했다.

합계출산율은 2015년 1.24명에서 2016년 1.17명으로 떨어진 뒤 계속 하락세다. 2018년(0.98명)에는 처음으로 1명 이하로 떨어졌으며 2019년에는 0.92명, 2021년 0.81명, 2022년 0.78명, 그리고 2023년 0.72명을 기록했다.

한국의 출산율은 전세계에서 가장 낮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 회원국 중 출산율이 0명대인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 이탈리아의 출산율은 1.24명(2020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뒤에서 두 번째로 낮지만 0.7명대 출산율을 걱정하고 있는 최하위 국가인 한국의 상황에 비할 바는 아니다.

선진국이 아닌 국가 중에도 한국보다 출산율이 낮은 나라는 없다. 세계은행(WB) 통계에 따르면 섬나라인 푸에르토리코(0.9명)와 도시국가인 홍콩(0.87명), 싱가포르(1.1명) 정도가 한국의 뒤를 이어 저출산 국가에 이름을 올려놓고 있다.

관련어

  • 한국형헬기사업[Korean Helicopter Program]

    현재 한국국이 사용 중인 UH-1,500MD 등 노후된 헬기를 2011년부터 국산헬기로 대...

  • 확률형 아이템

    확률형 아이템은 게임에서 돈을 내고 구매하는 아이템 중 하나로, 어떤 아이템을 얻게 될지 ...

  • 환율변동 요인

    외국돈의 가격인 환율은 물건값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외국돈의 수요와 공급에 의하여 결정된...

  • 호스트 컴퓨터[host computer]

    주 컴퓨터 또는 전체 컴퓨터를 제어하며 데이터의 흐름을 규제하는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