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총부채상환비율

[debt to Income, DTI]

총소득에서 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소득을 기준으로 금융회사로부터 대출을 받을 수 있는 한도를 정하는 계산비율이다. 과도한 대출에 따른 금융회사와 가계의 부채 부담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대출상환액이 소득의 일정 비율을 넘지 않도록 제한하는 제도다.
예를 들어 연간 소득이 5000만원이고 DTI가 50%라면 총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2500만원을 초과하지 않도록 대출 규모를 제한하는 것이다.
이 비율은 50%였으나 2014년 8월 박근혜 정부가 부동산 경기 진작을 위해 60%로 완화했다..

  • 최저가 낙찰제도

    건설사업 입찰자중 최저가격으로 입찰한 업체부터 입찰금액의 적정성을 심사하여 낙찰업체를 결정...

  • 초과보험[over issuance]

    보험금액이 보험가액을 초과할 경우를 말한다. 손해보험에서는 실손 보상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

  • 처녀생식

    핵이 제거되지 않은 난자가 전기충격을 받을 경우 정자가 들어온 것으로 착각해 마치 수정이 ...

  • 초국적지수[Transnationality Index]

    기업의 국제화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유엔무역개발위원회(UNCTAD) 등에서 사용한다.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