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적합성평가

[適合性評價, conformity assessment]

제품이나 서비스, 공정이 법적·기술적·안전 기준 등 사전에 정해진 규격이나 요구사항을 얼마나 충족하는지를 심사하는 절차.
국제표준화기구(ISO)는 이를 “제품, 공정 또는 서비스가 규정된 요건을 충족시키는 정도에 대한 체계적인 심사”로 정의한다.

적합성평가는 시험(testing), 검사(inspection), 인증(certification)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뤄지며, 제품의 품질과 안전을 확보하고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핵심 수단이다. 특히 방송통신기자재의 경우, 전파환경에 해를 끼치거나 전자파 장애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조·수입·판매 이전에 반드시 이 평가를 거쳐야 한다.

또한 국제무역에서는 국가 간 기술 장벽을 완화하고 상호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며, ISO, IEC 등 국제기구의 표준을 기준으로 적용되기도 한다.

  • 중성자

    양성자와 함께 원자핵을 구성하는 물질.양성자나 전자와 달리 전기를 띠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

  • 정비구역

    노후 지역을 재개발·재건축을 통해 계획적으로 정비하기 위해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에 ...

  • 자전거래[cross trading]

    대량 주식 매매를 중개하는 증권회사가 두 개 이상의 내부 계좌를 활용해 특정 주식을 반복적...

  • 주택할부금융[housing finance]

    주택 구입자의 구입자금조달을 원활히 하는 한편 미분양 사태를 겪고 있는 주택건설업계의 자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