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프가드
[safeguards]특정 물품의 수입이 급증해 수입국의 국내산업이 피해를 입거나 또는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을 경우, 해당 품목의 수입을 임시적으로 제한하거나 관세인상을 통해 수입품에 대해 긴급수입제한 조치를 할 수 있는 제도.
이 경우 수입에 따른 피해의 정도는 심각한 수준이어야 한다. 세이프가드 조치는 GATT 조항(제19조)에도 규정되어 있다.
일부 국가들은 GATT의 범위를 벗어난 양자협상을 통해 상대국이 수출을 ‘자발적으로’ 자제하거나 또는 시장점유율에 대해 합의를 통해 자국산업의 보호를 꾀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자동차, 철강, 반도체 등 여러 산업부문에 걸쳐 광범위하게 적용되었다.
한편 외환시장에서 세이프가드는 외환위기가 예상되거나 급격한 외국자본 이탈 현상이 발생할 때 일시적으로 외환거래나 대외송금을 정지시킬 수 있다.
-
서든 스톱[sudden stop]
선진국의 통화긴축 등으로 신흥국에 유입되는 자본이 급감하거나 신흥국에서 대규모로 자본이 유...
-
사회적책임[social responsibility, SR]
사회적책임(SR)은 기업이 사회의 일원으로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책임의식을 갖...
-
사용량-약가 연동제
청구액이 예상청구액 또는 전년도 청구액 대비 일정수준 이상 증가하여 보험재정 부담이 발생한...
-
생산관리지역
농업·임업·어업 생산 등을 위하여 관리가 필요하나, 주변 용도지역과의 관계 등을 고려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