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정보 격차

[digital divide]

컴퓨터가 발전하고 인터넷의 효용이 증가할수록 정보소유계층(information have)과 정보비소유계층(information have-not) 간의 격차가 점점 더 커지는 것을 말한다. 신기술 개발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삶을 풍요롭고 편리하게 하지만, 새로운 기술들은 대체로 가격이 비싸고 다루기가 복잡하기 때문에 지식과 재산을 가진 특정한 계층이 독점하기 쉽다는 것이다. 정보 격차는 단순히 ''정보''의 격차에만 한정되지 않고 인식과 생각의 격차, 감정의 격차, 문화의 격차로 확대되면서 새로운 사회적 분열과 갈등의 중심기제로 작동할 개연성을 높이고 있다. "디지털 격차"로도 불린다.

  • 재난적 의료비 지원사업

    재난적 의료비 지원 제도는 소득 대비 과도한 의료비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가구를 대상으로...

  • 지방채[municipal bonds, local government bonds]

    지방자치단체가 재정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 발행기관은 특별시·광역시·...

  • 재고자산회전율[inventories turnover]

    매출액을 재고자산으로 나눈 것으로서 재고자산의 회전속도, 즉 재고자산이 당좌자산으로 변화하...

  • 증서대출

    은행의 대출은 대출 형식에 따라 어음할인과 대출로 구분되며 대출은 다시 어음대출, 증서대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