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제원자력기구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IAEA]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촉진하고 핵연료를 군사적 목적으로 전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957년에 발족된 국제기구이다.

국제연합의 전문기구는 아니나 실질적으로는 이에 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활동목표는 전세계에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연구개발 실용화를 장려하고 이에 필요한 물자, 서비스 설비를 제공하고 과학적 기술적인 정보교환을 촉진하며 핵분열 물질이 군사목적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보장 조치하는 것 등에 있다.

1957년 우리 나라 등 18개국이 창설회원국으로 참가, 설립하였으며, 2021년 8월 27일 현재 회원국은 173개국이다.

2021년 9월 27일 한국은 가입이래 최초로 국제원자력기구(IAEA) 이사회 의장국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2022년 9월까지 1년이다.

북한은 1974년 가입했으나 1993년 2월 IAEA가 특별핵사찰을 요구하자 당해년도에 NPT(핵확산금지조약) 탈퇴를 선언하고, 1994년 6월에 IAEA를 탈퇴했다. 같은 해 10월 미국과의 제네바 합의로 복귀 했으나 고농축우라늄 프로그램 문제로 제네바 합의가 파기되면서, 2003년 다시 NPT를 탈퇴했다.

관련어

  • 근저당권변경

    중도상환, 채무인수 등으로 등기사항에 변경(채권최고액, 채무자 변경 등)이 생긴 경우 그에...

  • 공적대외준비자산[gross official reserve]

    한 나라의 통화당국이 대외지불준비자산으로 보유하는 금, 교환가능한 외환, SDR IMF r...

  • 기술우대보증

    기술신용보증기금이 기술력이 우수하다고 인정되는 기업 또는 각종 기술개발 관련 자금 등을 정...

  • 계약심사제도

    지방자치단체가 발주하는 공사, 용역, 물품 등의 사업발주 전에 원가산정의 적정성을 면밀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