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토지거래허가제

 

토지거래허가제는 토지 투기 억제와 지가 안정을 위해 도입된 제도로, 1979년에 처음 시행됐다.

토지의 투기적 거래가 성행하거나 지가가 급등할 우려가 있는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해 적용한다.

해당 지역에서는 토지 계약 전에 관할 시·군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이용 목적, 면적, 거래 가격 등을 명시해 신청해야 한다.

시·군은 접수일로부터 25일 이내에 허가 여부를 결정해 통보해야 한다. 허가 없이 거래하거나 허가 목적과 다르게 이용할 경우 계약은 무효가 되며 처벌 대상이 된다.

법적 근거는 국토이용관리법(현행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며, 허가구역은 통상 5년 단위로 지정된다.

  • 토크[torque]

    물체에 작용하여 물체를 회전시키는 힘의 단위. 자동차에서는 차축(동력축)을 회전시키는 힘(...

  • 테라토마[Teratoma]

    면역력을 없앤 쥐(스키드 마우스)에 줄기세포를 주사하면 양성 종양이 생긴다. 줄기세포는 체...

  • 트렁크 쇼[trunk show]

    의상이나 보석 등 신제품이 출시되었을때 소수의 상위소비자 (VVIP)를 위해 개최하는 소규...

  • 테스트 핸들러[test handler]

    웨이퍼에서 모든 가공공정을 마친 반도체칩을 주검사장비로 공급해주고, 검사 결과를 토대로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