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친디아

[Chindia]

중국 (China)와 인도 (India)의 합성어. 영국의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친디아 스토리’라는 글을 통해 “향후 수십년간 중국과 인도의 부상, 이에 대한 세계의 대응이 21세기를 규정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중국과 인도는 2차 대전 후 사회주의를 채택했지만 개혁개방을 통해 세계경제의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이들의 경제는 상호보완적이어서 연합할 경우, 세계경제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전망이다. 저임금의 무궁무진한 노동력과 훌륭한 사회간접시설로 무장한 중국은 세계 제조업기지로 자리잡았다. 인도는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전체 경제의 15 %에 불과하지만 세계 정보통신(IT) 산업의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 비슷한 의미에서 러시아와 인도를 합친 러디아(Rudia)란 용어도 쓰인다.

  • 첨단재생의료치료제[Regenerative Medicine Advanced Therapy, RMAT]

    혁신적인 재생의약치료제를 개발하고, 의학적 미충족 수요(unmet medical needs...

  • 총계정원장[general ledger]

    사업의 모든 재무적 보고계정을 포함하는 공식적 원장. 그것은 자산과 자본과 부채계정을 차감...

  • 창시상품

    소비자의 시간효용을 극대화시켜주는 상품과 서비스를 말한다. 소비자의 24시간은 수면 식사 ...

  •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청년은 일자리를 못 구하고 중소기업은 우수한 인재가 부족한 ‘인력 미스매치(불균형)’ 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