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택시총량제

 

택시총량제는 택시 공급 과잉을 막고자 지역별로 택시 대수를 제한하는 제도다.

이는 택시 업계의 경영 악화와 택시 기사의 수입 감소를 예방하고, 택시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해 2005년 처음 도입됐으며, 2014년 '택시운송사업의 발전에 관한 법률'이 제정돼 법적 기반을 갖췄다.

국토교통부는 5년 주기로 택시총량제를 시행하며, 지방자치단체는 국토부의 지침에 의거해 지역별 택시총량을 산출한다.

이 제도는 지역별 인구 수, 택시 운행 거리, 택시 요금 등을 감안해 택시총량을 정하며, 택시의 공급과 수요 간 균형을 꾀해 택시 업계의 안정과 성장을 지원한다.

  • 탄소포인트 제도

    가정, 상업시설, 기업 등에서 자발적인 에너지 절감을 통해 감축된 이산화탄소량을 포인트로 ...

  • 통안사채

    최근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통화정책 운용수단으로 민간기업이 발행한 회사채를 채택...

  • 통상임금[ordinary wage]

    근로자에게 정기적, 일률적으로 주는 시간급, 일급, 주급, 월급 또는 도급 금액이다. 일...

  • 탄소국경세[carbon border tax]

    탄소 고배출 산업에 부과하는 일종의 관세로 유럽연합이 주도하고 있는 관세 형태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