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옵션거래

[option trading]

통화, 채권, 주식, 주가지수 등 특정자산을 장래의 일정시점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팔고사는 권리를 말한다. 팔 권리를 풋옵션(put option)이라고 하고 살 권리를 콜옵션(call option)이라고 한다. 옵션의 매매가격을 프리미엄이라고 한다. 이는 옵션을 구입할 때에 옵션의 매수자가 매도자에게 지급하는 금액으로 매수자는 그 대가로 대상증권을 매수할 권리 또는 매각할 권리를 얻을 수 있다. 예 컨대 주식의 가격이 상승한다고 기대하면 콜옵션을, 하락을 기대하면 풋옵션을 매수한다. 매입자는 옵션을 사들인 이후 대상물의 시장가격 변동상황에 따라 유리하면 옵션을 행사하고 불리하면 포기하면 된다. 옵션매도자는 프리미엄을 받는 대신 옵션매입자의 옵션행사에 따라 발생한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

옵션거래는 매매 쌍방간에 위험부담을 적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옵션거래는 투기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즉 투자자가 어느 채권의 콜옵션을 매입한다면 그는 그 채권의 금리가 하락(채권가격이 상승)될 것이라는 예상하에 투기를 하는 것이다. 옵션의 경우 만료일은 옵션매수자가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마지막 날로서 만료일의 일정시간(만료시간)까지 권리를 행사하지 않으면 옵션은 소멸된다. 한편 주식과 주가지수의 옵션만기일은 매월 두번째 목요일이다.

  •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유럽통합 관련 조약을 수호하고 유럽연합(EU) 의 행정부 역할을 담당하는 기구. EU 관련...

  • 아바타[Avatar]

    가상공간에서의 삶 즉 세컨드 라이프와 같은 가상현실 사이트들에서 나를 대변하는 분신으로 인...

  • 안건신속처리제

    안건신속처리제는 여야 간 이견으로 국회에서 법안이나 안건이 장기간 계류되는 입법 교착 상태...

  • 유인구조

    특정 경제 행위를 유발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일련의 인센티브 체계를 말한다. 이런 유인구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