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기업부족자금보전율

 

기업의 자금부족을 개인의 잉여자금이 보충해준 비율. 즉 기업의 모자라는 투자자금을 개인이 저축으로 메워준 비율이다.

대개 기업은 저축보다 투자를 많이 하고 개인은 투자보다 저축을 많이 한다. 물론 개별적으로는 돈이 부족한 개인이나 돈이 남는 기업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개인이나 기업부문 전체로 보면 개인은 흑자주체로서 남는 돈을 금융저축으로 운용하고 기업은 적자주체로서 모자라는 돈을 빌려 투자를 하게 된다. 기업이 부족자금을 조달하는 경로는 구체적으로 은행차입 등 간접금융, 주식시장을 통한 직접금융, 해외차입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 돈이 남아 기업의 자금부족을 보충해주는 부문은 개인저축뿐 아니라 정부 및 해외부문도 있다. 그러나 보통 기업부족 자금보전율이라고 하면 개인저축의 기업부족 자금보전율을 말한다.

  • 감자[減資, reduction of capital]

    감자는 회사의 자본금을 줄이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는 각종 잉여금과 자기자본을 포함한 자산...

  • 기명식 주식

    주식의 자유로운 양도는 상법으로 보장되어 있다. 그러나 일정시점에 주주를 확정시켜놓지 않으...

  • 금수조치[embargo]

    한 국가가 다른 특정 국가에 대해 직간접 교역, 투자, 금융거래 등 모든 부분의 경제교류를...

  • 기본자본[core capital]

    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의 분자인 자기자본의 핵심이 되는 자본으로서 ① 주주에 의해서 조성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