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수익증권 환매

 

환매란 투자신탁회사에 맡긴 투자자의 돈을 되돌려 주는 것을 말한다. 투신사는 투자자의 돈을 끌어 모아 펀드를 설정한다. 투신사들은 이렇게 조성된 자금을 주식형이나 공·사채형 수익증권에 넣어 굴린다. 투자자들이 돈을 돌려달라고 하면 이를 다시(환) 사들여야(매) 한다. 이게 환매다. 투자자들은 수익을 많이 냈을 때나 그 반대의 경우에도 환매를 신청하곤 한다.

다만 환매수수료를 내는 기간중에는 환매가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주식형펀드의 경우 통상 가입한 지 6개월이 지나면 환매수수료를 내지 않아도 된다. 환매수수료를 내지 않아도 되는 때를 "만기"로 생각하는 투자자들이 많다. 그러나 펀드에는 따로 만기가 없는 게 일반적이다. 가입자들이 수시로 바뀌기 때문이다.

  • 스무딩 오퍼레이션[smoothing operation]

    외환시장에서 한 방향으로 환율이 지나치게 급하게 움직일 경우 그 움직임을 둔화시키는 것을 ...

  • 실리콘[silicon, Si]

    원자번호 14의 원소. 정식명칭은 규소이지만 반도체산업에서는 영어 그대로 실리콘이라는 이름...

  • 수요견인 인플레이션[demand-pull inflation]

    어떤 상품에 대한 수요가 갑자기 올라가면 물가 역시 오르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 솅겐조약[Schengen agreement, Schengen Acquis]

    유럽연합(EU) 회원국 간 체결된 국경 개방 조약이다. 1985년 프랑스 독일 벨기에 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