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시가 회계제도

 

최근 세계인의 이목(耳目)이 일본경제와 증시에 몰리고 있다. 다음달 1일 ''시가 회계제도''도입을 앞두고 보유주식 처분→주가 하락→평가손 발생→추가 보유주식 처분의 악순환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시가 회계제도란 일본 시중은행들이 보유한 금융자산이 평가손이 발생할 경우 재무제표에 그대로 반영하는 제도를 말한다. 문제는 일본 시중은행들의 부실채권 규모가 31조엔에 달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제도 도입으로 인해 추가 부실채권이 발생할 경우 재무건전성이 나빠져 금융기관으로서의 제 역할을 못할 것이라는 점이다. 이 과정에서 대두되고 있는 ''9월 위기설''의 가시화 여부에 각국 정책당국자와 투자자들이 주목할 것으로 예상된다.

  •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센터, 지자체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 학교 상담사, 정신보건복지사, 국가...

  • 신자산건전성분류기준[新資産健全性分類基準, Forward Looking Criteria, FLC]

    미래의 빚상환능력을 반영한 자산건전성분류기준. 금융회사의 부실여신 발생을 사전에 억...

  • 스마트폰 중독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몰입해 통제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스마트폰 사용자는 기기를 통해 ...

  • 생산자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 PPI]

    모든 상품의 가격변동을 대표하는 지표다. 일정 시점의 연평균 물가를 100으로 잡고 가격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