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구축효과

[crowding-out effect]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재정지출을 늘린다 하더라도 그만큼 민간소비가 줄어들어 경기에는 아무런 효과를 가져오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부가 부족한 재정을 확충하기 위해 국채발행을 늘리면 금리가 상승해 민간투자가 위축되어 총수요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구축효과는 금리를 내리더라도 효과가 없는 통화정책상의 유동성 함정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구축효과와 유동성 함정이 나타나는 것은 경제주체들이 경제 앞날에 대해 불확실하게 생각해 정책당국의 의도대로 반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정책당국이 재정지출을 늘리고 금리를 내리더라도 의도한 경기부양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경제주체들이 우려하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제거해주는 노력이 뒤따라야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 기초자산[underlying assets]

    파생상품의 기초(근거)가 되는 자산을 말한다. 기초자산은 크게 △통화(FX), 금리, 주식...

  • 계약서비스마진[contractual service margin, CSM]

    CSM은 보험계약 시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익의 현재 가치를 뜻한다. 당초 국제...

  • 권역별 비례대표제

    국회의원 정수(300명)를 권역별로 인구 비례에 따라 나누고 그 의석을 정당 득표율에 따라...

  • 규제프리존특별법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14개 시·도에 27개의 전략산업을 지정해 규제를 풀어주는 제정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