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사이드 카

[side car]

선물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5% (코스피) 6%(코스닥) 이상 급등 혹은 급락상태가 1분간 지속될 경우 현물시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주식시장 선물 및 현물 매매를 5분간 중단시키는 것.

코스피 지수나 코스닥 지수가 전일 종가지수 대비 10% 이상 폭락한 상태가 1분 이상 지속하면 주식매매를 일시정지 시키는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의 전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사이드카는 5분이 지나면 자동 해제돼 매매가 재개된다는 점, 하루 한차례에 한해 발동되며 주식시장 매매거래 종료 40분전 이후,즉 오후 2시20분 이후에는 발동되지 않는다.
또한 사이드 카가 발동되면 주식시장 프로그램 매매 호가의 효력이 5분간 정지되는데, 상승의 경우에는 매수호가가, 하락의 경우에는 매도호가의 효력이 해당된다.

사이드 카는 마치 경찰의 오토바이 사이드 카가 길을 안내하듯이 과속하는 가격이 교통사고를 내지 않도록 유도한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의 전단계로 증권시장의 경계경보라고 할 수 있다.

1987년 미국 증시가 사상 최대의 폭락을 경험했던 '검은 월요일' 이후 선물 가격의 급격한 변화가 현물시장에 과도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해 시행됐다.

우리나라에서는 1996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이후 1998년 외환위기,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 2011년 10월 그리스 채무불이행(디폴트) 사태때 발동됐다. 이후 2020년 3월 12일 WHO의 코로나19를 `팬데믹'으로 선언하며 패닉장세가 연출되자 8년 5개월만에 다시 발동됐다.

  • 슬로벌라이제이션[slowbailzation]

    2008년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세계화(globalization)의 흐름이 후퇴하는(slow...

  • 스마트 화면유지[smart-stay]

    스마트 폰 사용자의 얼굴과 눈을 인식해 사용자가 화면을 보고 있을 경우 화면을 터치하지 않...

  • 산탄데르 소비자금융

    산탄데르그룹의 자동차 할부 등 소비자금융 계열사로 영국, 독일, 오스트리아 등 유럽 17개...

  • 서버팜[Server Farm]

    한 위치에 집단으로 수용되어 동작되는 서버 그룹으로서, 클라이언트 망과 분리하여 따로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