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지구단위계획

 

도시 안의 특정한 구역을 종합적,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립하는 일종의 공간계획.

지방자치단체 등이 특정 지역을 개발·정비·관리할 때 도시 경관을 개선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정한다.
교통·환경 등 10년 내 해당 지역이 겪게 될 변화를 고려해 건축물 및 기반시설 설치 기준을 세우고 해당 지역 여건에 따라 건축물 높이와 용도 및 용적률 등을 결정한다.

구역의 용도는 일반주거지역 준주거지역 상업지역 등으로 다양하다.

`작은 도시계획’으로도 불린다

  • 좀비족[zombie]

    좀비족이란 직장에는 꼬박꼬박 출근하지만 기업의 목적인 이윤 창출에는 전혀 기여하지 못하는 ...

  • 전문연구요원

    이공계 석사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사람이 병무청장이 선정한 지정업체에서 3년간 일함으로써 군...

  • 자운스 범퍼[jounce bumper]

    자동차 서스펜션에 장착돼 금속 스프링과 함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소모성 부품으로 ...

  • 증권회사[securities companies]

    증권거래법에 의거, 기획재정부 장관의 허가를 받아 증권업을 주업무로 하는 주식회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