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실질금리

 

물가상승을 감안한 이자율을 말한다. 앞으로 인플레이션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면 투자자는 실질금리에 예상 인플레이션율을 더한 만큼의 이자율을 받으려는 경향을 보이기 마련이다. 이때 금리를 명목금리(nominal rate of interest)이라고 한다. 다시말해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예상인플레이션율을 뺀 것이다. 최근 은행예금 금리가 떨어지는 동시에 물가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실질금리가 사실상 0%시대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 상계[netting]

    글로벌 경영을 하는 기업의 본사와 지사 혹은 지사와 지사간에 발생하는 채권.채무관계를 일정...

  • 서비스 경제[service economy]

    제조업·농업·광업과 대조적인 서비스 부문에 의해 경제활동이 지배되는 경제.미국은 전체 노동...

  • 소비자신뢰지수[Nielsen Global Consumer Confidence Index]

    다국적 조사기업인 닐슨컴퍼니가 전세계 6개월마다 주요 51개국의 2만8000명을 상대로 직...

  • 삼각합병[triangular merger]

    모회사가 자회사를 통해 다른 기업을 합병하면서 모기업 주식 등을 지급하는 방식을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