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실질금리

 

물가상승을 감안한 이자율을 말한다. 앞으로 인플레이션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면 투자자는 실질금리에 예상 인플레이션율을 더한 만큼의 이자율을 받으려는 경향을 보이기 마련이다. 이때 금리를 명목금리(nominal rate of interest)이라고 한다. 다시말해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예상인플레이션율을 뺀 것이다. 최근 은행예금 금리가 떨어지는 동시에 물가상승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실질금리가 사실상 0%시대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 슈바베계수

    가계의 총소비지출에서 전월세 비용이나 주택 관련 대출 상환금, 세금, 보험 등 주거비가 차...

  • 선택진료비

    환자들이 전문성 높은 의사에게 진료받는 대가로 지급하는 비급여 항목이다. 이 금액의 30%...

  • 스노마겟돈[snowmaggedon]

    눈(snow)과 지구의 종말을 초래할 만한 대혼란을 뜻하는 아마겟돈(armageddon)을...

  • 신용잔고

    신용잔고란 신용거래에 있어 미결제로 남아 있는 주식수, 즉 신용거래를 한 투자자가 증권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