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택성과 도달성
[Rich & Reachness]필립 에번스(Philip Evans)와 토마스 월스터(Thomas Wurster)이 "e가치사슬의 해체"에서 사용한 개념이다. 과거 기업들은 특정 소수에게 정보의 양과 질을 풍부하게 전달했는가,아니면 보다 일반적인 정보를 다수에게 전달하는지에 대해 현실적인 타협을 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이해관계가 엇갈리면서 기업간 합종연횡이 나타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지금은 인터넷의 등장으로 모든 비즈니스 주체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되면서 정보의 윤택성과 도달성은 크게 확대됐다. 다만 수많은 정보가운데 유용한 정보를 걸러내고 정보도달 시스템을 얼마나 체계적으로 구축할 것이냐가 경쟁이 관건으로 자리잡았다.
-
완전자율주행[full self-driving, FSD]
테슬라가 개발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운전자가 개입하지 않아도 도심과 고속도로에서 차량이 ...
-
우버화[Uberization]
차량과 승객을 바로 연결해주는 모바일 차량공유 서비스 우버(Uber)에서 나온 신조어. 소...
-
어음부도율[dishonored bill ratio]
어음부도율은 어음교환소를 통해 교환회부된 약속어음, 당좌수표, 가계수표, 자기앞수표 등 각...
-
액면가[par value]
주권표면에 적힌 금액으로 주당 5천원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1천원, 5백원,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