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브로커즈 론

[broker's loan]

미국에서 발달되어 온 증권거래 금융제도를 말한다. 고객이 증권업자에게 자금대출을 신청하는 경우 증권업자는 자기자금으로 고객의 대출에 응하게 되지만 자기자금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부족되는 자금을 은행이나 그 밖의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할 수 밖에 없다. 이때에 증권업자가 고객에게 증권 매매자금을 지원해줄 목적으로 은행 등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차입하는 관계를 브로커스 론이라 한다.

브로커스 론은 성질상 단기이고 담보물은 증권업자가 소유하고 있는 주식 등 유가증권을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콜론 형식으로 대부하는 방법과 30일, 60일, 90일 기간으로 하는 타임론 형식 등 두가지 방법이 있다. 이에 대해 증권업자가 은행이나 기타 금융기관으로부터 증권의 매매 차입하는 것은 같지만 고객의 증권거래자금 지원이 아니라 자신의 증권거래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딜러스 론(dealer''s loan)이라고 한다.

  • 보험가액[insurable value]

    보험사고 발생시 피보험자가 입게 되는 손해액의 최고 한도액이며 보상받을 수 있는 최고한도액...

  • 비이성적 과열[irrational exuberance]

    1996년 들어 미국의 주가가 거침없이 오를 때 당시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의장...

  • 법정근로시간

    근로기준법에 따라 주 단위 및 1일 단위로 정해져 있는 최저 기준근로시간. 만 18...

  • 바이오 개스[biogas]

    미생물 등을 사용해서 생산된 수소 ·메탄 등과 같은 가스 상태의 연료. 바이오개스의 형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