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브로커즈 론

[broker's loan]

미국에서 발달되어 온 증권거래 금융제도를 말한다. 고객이 증권업자에게 자금대출을 신청하는 경우 증권업자는 자기자금으로 고객의 대출에 응하게 되지만 자기자금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부족되는 자금을 은행이나 그 밖의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할 수 밖에 없다. 이때에 증권업자가 고객에게 증권 매매자금을 지원해줄 목적으로 은행 등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차입하는 관계를 브로커스 론이라 한다.

브로커스 론은 성질상 단기이고 담보물은 증권업자가 소유하고 있는 주식 등 유가증권을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콜론 형식으로 대부하는 방법과 30일, 60일, 90일 기간으로 하는 타임론 형식 등 두가지 방법이 있다. 이에 대해 증권업자가 은행이나 기타 금융기관으로부터 증권의 매매 차입하는 것은 같지만 고객의 증권거래자금 지원이 아니라 자신의 증권거래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딜러스 론(dealer''s loan)이라고 한다.

  • 복합위기

    고물가, 고환율, 고금리, 저성장 등 여러 경제위기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는 상황. 2...

  • 보험료 납입기간

    보험료를 내는 기간을 말한다. 비슷한 말인 보험기간은 보험으로 보장을 받을 수 있는 기간을...

  • 비과세 해외주식투자전용펀드.

    정부가 해외투자 활성화를 위해 2016년부터 도입하기로 한 펀드. 해외 상장주식 투자 비중...

  • 불화아르곤[ArF]

    아르곤과 불소의 화합물로 무색의 가스이다. 193nm의 파장을 가진 자외선 레이저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