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필립스 곡선

[Phillips curve]

영국의 경제학자 필립스가 찾아낸 실증 법칙으로 실업률이 낮으면 임금상승률이 높고 실업률이 높으면 물가상승률이 낮다는 반비례 관계를 나타낸 곡선이다. 필립스곡선이 우상향한다는 것은 이 같은 상관관계가 깨지고 실업률과 물가가 동시에 올라간다는 뜻이다.

즉 중앙은행이 돈을 풀어 물가를 올리는 정책을 취하면 단기적으로 경기를 부양해(물가를 끌어올려) 실업률을 낮출 수 있다는 얘기다.

필립스는 명목임금 상승률과 실업률의 관계를 분석했지만 일반적으로 명목 임금상승률과 물가상승률은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기 때문에 어떤 지표를 사용해도 큰 차이는 없다.

  • 풀타임 자녀[全職兒女, full-time children]

    중국에서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받으며 집안일을 하는 청년들을 말한다. 중국의 청년 실...

  • 프로유로키나제[pro-urokinase]

    심장이나 혈관 내에서 혈액이 응고되어 혈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혈전을 용해시키는 약물로 뇌출...

  • 표준투자권유준칙

    개인투자자가 금융투자상품에 가입하기 전 금융상품판매사는 개인투자자로부터 투자경험, 재산상황...

  • 패스[PASS App]

    2019년 4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가 공동으로 내놓은 본인인증 플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