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제상품분류

 

19세기 말 상품분류의 국제적 통일을 기하기 위해 제정된 분류체계로 현재 미국, 유럽공동체, 일본 등이 이를 채택하고 있다. 상품분류는 국제적으로 통일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간의 상품분류 차이로 인한 절차의 번잡성을 해소하고 상표 및 의장 부문의 출원을 용이하도록 한다.

  • 가계부실위험지수[household debt risk index, HDRI]

    가계의 소득과 자산을 바탕으로 채무상환능력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가계의 소득은 가구의 수입...

  • 공사

    공기업은 정부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기업으로 정부가 소유권을 갖거나 통제권...

  • 기술현물투자

    개인이나 기업이 소유한 특허·저작권 등 기술자산에 대해 기술평가기관 평가 또는 공인된 감정...

  • 공무수행사인

    민간인(私人·사인)이지만 공적인 업무를 맡고 있는 사람. 정부 부처가 설립한 위원회에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