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민가처분소득

[National Disposable Income, NDI]

국민가처분소득은 국민경제 전체가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로이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의 규모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국민가처분소득은 경상시장가격으로 평가된 국민순생산에 교포송금 등과 같이 생산활동과는 관계없이 국외로부터의 소득(대외수취경상이전)을 더하고 해외이주비 등 국외에 지급한 소득(대외지급경상이전)을 차감한, 즉 대외순수취경상이전을 더하여 산출한다. 이를 지출면에서 보면 최종소비지출과 저축으로 나누어진다.

한편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국민계정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국민총가처분소득(GNDI)은 국민가처분소득에 고정자본소모를 더한 것으로 총저축률총투자율을 작성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

  • 고정금리채[straight bond]

    고정이자를 지급예정일에 지급하고 원금은 만기에 지급하는 채권.

  • 근린상업지역

    지방자치단체가 주민편의를 위해 소규모 상업시설물이 몰려 있는 곳을 중심으로 상업지역으로 지...

  • 국가부채

    발생주의 기준으로 국가부채란 국가가 실제로 진 빚인 국가 채무에 미래에 지출하기 위해 현...

  • 글루코오스[glucose]

    포도당을 형성하는 당분의 일종. 탄수화물 대사의 중심 화합물로 산소가 없는 상태에서 에탄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