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회계변경

[accounting change]

기업회계기준의 일반원칙 중 ‘계속성의 원칙’이라는 것이 있다. 이는 회계처리에 관한 기준 및 추정인 기간별 비교가 가능하도록 매기마다 계속하여 적용하고 정당한 사유없이 이를 변경하여서는 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말을 거꾸로 해석하면 정당한 사유가 있을 때는 회계변경을 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회계변경에는 회계처리기준의 변경, 회계추정의 변경, 보고실체의 변경 등 세 가지의 이론적 유형이 있다. 첫째, 회계처리기준의 변경이란 고정자산감가상각 방법을 정액법에서 정율법으로 바꾸는 경우와 같이 지금까지 적용해 오던 회계처리기준 대신에 다른 적법한 회계처리기준으로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만약 부적법한 방법에서 적법한 방법으로 바꾸었다면 이는 오류의 수정에 해당하며 회계변경과는 다른 개념이다. 둘째, 회계처리에 있어서 어떤 경우에는 미래에 나타날 거래를 추정하고 이 추정치를 사용하는데, 회계추정의 변경이란 이러한 추정치를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대손추정률의 변경과 고정자산의 내용 연수 변경은 회계추정의 변경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연결대상 자회사에 변동이 있는 경우와 같이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기업실체가 변경된 경우를 보고실체의 변경이라 한다.

  • 합자조합

    회사 경영을 맡은 업무집행조합원(무한책임조합원)과 여기에 투자를 하는 유한책임조합원으로 구...

  • 한국증권금융주식회사[Korea Securities Finance Co.]

    우리나라에서 증권금융업무를 전담할 기관으로서 1955년 28개 증권회사의 공동출자에 의해 ...

  • 형식승인제도

    전기용품, 의료기기, 농기계 등 각종 공산품의 안전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

  • 하이퍼16[HIPER16]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원전연료 집합체. 내진성능 등 안전성을 높이고, 연료 손상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