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환경영향평가제

 

공해를 유발할 수 있는 새로운 시설·건물 등이 들어설 때 환경보전 측면에서 사전에 이를 평가, 심의하는 제도.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은 도심개발 산업입지 및 공업단지조성, 도로, 항만, 공항, 철도의 건설, 관광단지개발, 아파트지구개발 등 모두 16종인데 사업이 결정된 뒤에 관계부처와 협의하도록 되어 있다.

연면적 10만㎡ 이상 건축물을 지을 때 필수로 거쳐야 하는 절차다. 건축 인허가 심의 전 첫 단계다.

환경부장관이 부동의 결정을 내리면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그 결정을 따라야 한다.

1969년 미국이 국가환경정책법을 제정해 이 제도를 세계에서 처음 시행했고 우리나라는 77년 환경정책기본법을 제정해 이 제도를 도입, 시행해오다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면서 92년에 별도 법령인 환경영향평가법을 제정했다.

  • 핵심성과지표[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조직이나 프로젝트의 성과를 평가하고 추적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를 나타낸다. K...

  • 히든 챔피언[hidden champion]

    독일 경영학자인 헤르만 지몬이 2008년에 발간한 저서 ''히든 챔피언''에서 소개하면서 ...

  • 후공정 외주 기업[Outsourced Semiconductor Assembly and Test, OAST]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 외주업체로 어셈블리 기업이라고도 부른다. 반도체 패키징은 가...

  • 행정전산망

    행정전산망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행정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구축한 컴퓨터 네트워크망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