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한계비용

[marginal cost]

재화나 서비스 한 단위를 추가로 생산할 때 필요한 총비용의 증가분을 말한다. 기업은 수입에서 비용을 뺀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생산량을 결정할 때 한계비용과 한계수입이 일치할 때까지 생산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그래야 이윤이 최대한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한계수입(marginal income)은 한 단위를 추가로 판매할 때 얻어지는 총수입의 증가분으로 일반적으로 시장 가격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통의 경우 기업이 한계비용보다 가격이 낮은 데도 생산을 계속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관련어

  • 효력상실

    보험계약자가 제2회 이후의 보험료를 납입하지 않고 일정한 보험료 납입유예기간이 경과하였을 ...

  • 헤지 거래[hedge trading]

    증권시장에서 발생하는 또는 발생할 가격변동으로부터 야기되는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이미 보...

  • 하노버메세 2017[Hannover Messe]

    독일 하노버 국제전시장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산업박람회. 하노버메세는 1947년...

  • 한국외환은행[Korea Exchange Bank]

    1967년 한국외환은행법에 의거, 한국은행 및 정부의 출자에 힘입어 외환전문업은행으로 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