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피용자보수

 

한 나라의 경제가 1년 동안 생산한 재화와 용역은 소득이라는 형태로 국민경제 각 구성요소에 분배된다. 이같은 소득은 일차적으로 생산과정에 직접 참여한 각 경제주체, 즉 노동제공자와 자본경영의 제공자에게 분배된다. 또 정부는 이 소득 중 일부를 부가가치세와 같은 간접세를 통해 거두어들이게 된다. 이처럼 경제주체에 배분되는 소득 중 노동제공자에게 제공되는 부분을 피용자보수라고 부른다. 다시 말해 남에게 고용되어서 생산에 참여한 사람들이 노동을 제공한 대가로 받는 임금 등을 가리킨다. 이에 반해 자본과 경영을 제공해 생산활동을 주관한 경제주체에 돌아가는 몫은 영업잉여라고 부른다. 피용자보수는 국민총가처분소득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보통이며 규모와 증가율은 취업률이나 임금상승률 등의 영향을 받는다.

  • 피크코리아[Peak Korea]

    한국 경제 성장이 정점을 찍고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한국의 경제는 1960년대부터...

  • 페퍼[Pepper]

    프트뱅크의 로봇 자회사인 로보틱스가 개발한 인간형 로봇. 페퍼는 인간의 목소리를 인...

  • 퍼플 칼라[purple collar]

    `퍼플칼라’는 보라색 작업복, 즉 근로시간과 장소를 탄력적으로 선택하는 근로자를 뜻한다. ...

  • 피터의 법칙[Peter''s Principle]

    조직의 상위 직급은 무능한 인물로 채워질 수밖에 없다는 이론으로 미 컬럼비아대 로렌스 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