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프로슈머 마케팅

 

생산자(producer)와 소비자(consumer)를 합성한 말이 프로슈머이고 이러한 개념을 중시하는 마케팅 전략을 프로슈머 마케팅이라 한다. 과거에는 기업들이 신제품을 개발할 때 일방적으로 기획·생산하여 판매하는 전략을 구사해 왔으나 이제는 기획·생산단계에서 소비자 욕구를 파악하여 고객을 만족시킨다(customer satisfaction)는 전략을 취하고있다. 프로슈머 마케팅은 이 단계마저 뛰어넘어 소비자가 직접 상품의 개발을 요구함과 동시에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기업이 이를 수용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한마디로 소비자와 생산자가 동일체로 바뀐 형태의 마케팅은 컴퓨터, 가구, 의류업체 등에서 흔히 채용되고 있는 것으로 소비자 만족이 성공의 열쇠라는 인식에서 비롯된 전략이다.

  • 포스트 교토체제[post kyoto protocol]

    1997년 국가 간 이행 협약으로 체결한 교토의정서가 2012년 만료됨에 따라 이를 대체해...

  • 폰 노이만 병목[von Neumann Bottleneck]

    프로세서(CPU)와 HDD나 SSD같은 메모리간에 주고받는 데이터 양이 폭증하면서 둘 사이...

  • 평균물가목표제[average inflation target, AIT]

    미국 중앙은행(Fed)이 코로나19로 위기에 빠진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2020년 10월 ...

  • 피부물가

    모든 상품의 가격변동을 대표하는 지표다. 일정 시점의 연평균 물가를 100으로 잡고 가격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