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평균물가목표제

[average inflation target, AIT]

미국 중앙은행(Fed)이 코로나19로 위기에 빠진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2020년 10월 도입한 정책으로 물가 상승률이 평균 2%를 넘어도 일정기간 용인하겠다는 것을 주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월가에서는 인플레이션을 예상하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Fed가 최소 5년간 제로금리 정책을 이어갈 것으로 예고한 가운데 재정 부양책도 지속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는 탓이다.

*인플레이션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인플레이션이 주가에 미치는 위험은 적은 편이다. 역사적으로 주가가 가장 좋았을 때는 인플레가 약 2% 수준일 때다. 이러면 증시에 문제가 될 수 있는 Fed의 금리 인상을 촉발하지 않으면서도, 기업의 매출과 이익을 높이는 데는 충분하다.

골드만삭스 분석에 따르면 Fed의 새로운 접근법은 일정 기간 목표(2%) 이상의 인플레이션을 명시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이게 의미하는 건 인플레이션이 주가에 역풍이 되기 전까지 상당기간 증시에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 플래시[flash mob]

    정해진 시간과 장소에 모여 짧은 시간 동안 주어진 행동을 하고 곧바로 흩어지는 행위를 뜻한...

  • 팜유[palm oil]

    팜 나무(기름야자) 열매를 쪄서 압축 채유해 만든 식물성 기름. 팜 열매는 껍질(29...

  • 퍼스널 마케팅[personal marketing]

    고객 한 사람 한 사람의 개별 욕구에 적합한 마케팅 활동을 통해 차별적인 고객 각자의 니즈...

  • 표준감사시간제도

    감사업무의 품질을 높이고 투자자 등 이해관계인을 보호하기 위해 외부감사업무를 수행하는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