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프로그램 매매

[program trading]

기관투자가가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여러 종목을 일시에 대량으로 자동매매하는 방식의 거래를 말한다. 한국거래소에서는 한 사람이 KOSPI200종목 중 15개 이상 종목을 동시에 거래하는 것을 프로그램 매매로 규정하고 있다. 프로그램 매매는 일반적으로 차익거래와 비차익거래로 나뉜다. 차익거래는 현물과 선물의 가격 차이를 이용해 차익을 챙기는 매매다. 선물이 현물보다 비싼 "콘탱고"상태에서는 비싼 선물을 팔고 값싼 현물을 사는 반면 반대의 "백워데이션"상태에서는 선물 매수, 현물 매도하는 방식이다. 비차익 거래는 현물주식만 15개 종목을 한번에 매수 또는 매도하는 것이다.

펀드매니저들은 증시 전망을 낙관적으로 볼 때는 손쉽게 "시장을 산다"는 의미에서 프로그램 매수하고 반대로 증시 전망이 부정적일 때는 프로그램 매도를 통해 "시장을 판다"고 한다. 연기금 등 대형투자기관들이 보유 중인 인덱스펀드를 선물에서 현물로 교체할 경우 자주 활용된다.

  • 폐쇄이용자그룹[Closed User Group, CUG]

    IPTV의 양방향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만의 모임. 인터넷의 카페가 IPTV에서 구현된다...

  • 포트[port]

    포트는 대형 컴퓨터와 일반 이용자들을 연결해주는 일종의 접속구이자 정보의출입구 역할을 하는...

  • 펨토셀[femtocell]

    가정이나 사무실 등 실내에서 초고속 인터넷 회선에 무선랜 중계기(AP)를 연결하여 모바일기...

  • 피지컬 웹[Physical web]

    구글이 2014년 10월 개발할 것이라고 발표한 오픈소스 IOT 플랫폼 프로젝트명. 이 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