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프로그램 매매

[program trading]

기관투자가가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여러 종목을 일시에 대량으로 자동매매하는 방식의 거래를 말한다. 한국거래소에서는 한 사람이 KOSPI200종목 중 15개 이상 종목을 동시에 거래하는 것을 프로그램 매매로 규정하고 있다. 프로그램 매매는 일반적으로 차익거래와 비차익거래로 나뉜다. 차익거래는 현물과 선물의 가격 차이를 이용해 차익을 챙기는 매매다. 선물이 현물보다 비싼 "콘탱고"상태에서는 비싼 선물을 팔고 값싼 현물을 사는 반면 반대의 "백워데이션"상태에서는 선물 매수, 현물 매도하는 방식이다. 비차익 거래는 현물주식만 15개 종목을 한번에 매수 또는 매도하는 것이다.

펀드매니저들은 증시 전망을 낙관적으로 볼 때는 손쉽게 "시장을 산다"는 의미에서 프로그램 매수하고 반대로 증시 전망이 부정적일 때는 프로그램 매도를 통해 "시장을 판다"고 한다. 연기금 등 대형투자기관들이 보유 중인 인덱스펀드를 선물에서 현물로 교체할 경우 자주 활용된다.

  • 프렌드 쇼어링[friend-shoring]

    미국에서 생산 시설을 운영하기 어려운 기업이 우방국(friend)을 생산기지로 낙점하고 이...

  • 폐쇄형 네트워크 서비스[walled garden]

    특정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 중 사업자가 허용한 콘텐츠 만 이용하도록 제한하는 ...

  • 핏 포 55[Fit for 55]

    유럽연합 집행위원회가 2021년 7월14일 발표한 탄소배출 감축 계획안. 유럽외 지역에서 ...

  • 파워센터[Power Center]

    미국에서 백화점ㆍ할인점ㆍ전문점 등을 모은 대규모 매장을 말한다. 최근에는 게임장ㆍ테마파크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