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콜 옵션

[call option]

기초자산을 정해진 기간내(또는 정해진 일시)에 일정한 행사가격으로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기초자산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면 콜옵션을 매수해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다. 상승할 가능성이 낮을 것 같으면 콜옵션을 매도해 프리미엄만큼의 이익을 얻는다. 풋옵션의 반대개념이다.

콜 옵션 구매자는 콜 옵션 판매자로부터 콜 옵션 만기일에, 또는 만기일 이전에 언제라도 옵션대상상품을 옵션 행사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되며, 콜 옵션 판매자는 콜 옵션 구매자가 옵션 기초상품을 구매코자 할 때는 언제라도 판매해야 할 의무가 있으므로 콜 옵션이 행사되었을 경우에는 대상상품을 행사가격에 판매하게 된다. 콜 옵션을 행사할 수 있는 사람은 콜 옵션 구매자이며 콜 옵션 판매자는 요구에 따라 수동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 쿼드러플 레버리지 ETF[quadruple leverage ETF]

    하루 지수변동폭의 4배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 국내에서는 하루 지수 변동폭의 2...

  • 코레스 계약[correspondent arrangement]

    외환은행이 자국 거래당사자들의 의뢰를 받아 송금 등의 업무를 대행하기 위해 해외의 다른 은...

  • 큐레이션[curation]

    다른 사람이 만들어놓은 콘텐츠를 목적에 따라 분류하고 배포하는 일을 뜻하는 말이다. 콘텐츠...

  • 크롬 북[chrome book]

    구글이 2011년 5월 11일 발표한 노트북. 크롬북의 외형은 노트북과 유사하지만 일반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