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철수장벽

[barriers to exit]

참여장벽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어떤 분야에서 철수하려고 하는 경우에 그 진출 분야에서 선뜻 발을 빼지 못하게 하는 주요 요인을 일컫는다. 예를 들면 타기업에 대한 원료의 장기 공급 계약이라든가, 고객에 대한 애프터서비스의 보장, 철수에 따른 고정비용의 발생 등이 그것이다. 매몰원가도 경우에 따라서는 철수장벽이 된다. 거액을 투자하여 건설한 설비나 시설을 싼값으로 팔아 치우기로 결심하기란 힘든 일이며 그런 것이 철수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 책임총리제[Responsible Prime Minister System]

    책임총리제는 대통령에게 집중된 권한을 국무총리에게 분산해 상호 견제를 실현하는 정치 체제다...

  • 체외진단

    혈액, 분뇨, 체액, 침 등 인체에서 유래한 물질을 이용해 몸 밖에서 신속하게 병을 진단하...

  • 총자산이익률[return on assets, ROA]

    수익성을 살펴보는 대표적인 지표로 ''총자산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이 충자산이익...

  • 창시상품

    소비자의 시간효용을 극대화시켜주는 상품과 서비스를 말한다. 소비자의 24시간은 수면 식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