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천이궤도

[transfer orbit]

무궁화 위성이 운항하는 궤도는 천이(遷移)궤도, 표류궤도, 정지궤도 등 크게 세 가지다. 무궁화 위성이 문제를 일으킨 천이궤도는 3만6천㎞의 원형 정지궤도에서 정지궤도에 이르는 중간 단계의 궤도를 말한다. 지구에서 가깝게는 1천3백52㎞, 멀게는 3만5천7백86㎞의 타원형이다. 일단 천이궤도에 진입한 인공위성은 아무 동력없이 순전히 광성만으로 지구 주위를 돌게 된다. 이후 원지점에서 원지점 모터라는 추가동력을 사용해 원형의 정지궤도에 진입하게 된다. 이때 위성은 원하는 목표(무궁화 위성의 경우 동경 116도 상공)로 수평이동하게 되는데 이를 표류궤도라고 부른다.

  • 청색 기술[blue technology]

    온실가스 등 환경 오염 물질 발생을 사전에 막는 기술. 생물체에서 영감을 얻어 문제를 해결...

  • 총공급[aggregate supply]

    거시 경제학에서 주어진 기간에 각 가격수준에서 시장에 제공되는 재화와 용역의 총합계. 총생...

  • 초과 지준금 이자율[interest on excess reserves]

    시중은행이 중앙은행에 예치한 예금에 붙는 이자율.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향후 출구전략을...

  • 초대형 건축형 미디어[super large architecture media, SLAM]

    건물 외벽에 투명 유리를 설치하고 그 위에 영상을 표시하는 기술. SLAM은 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