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지급준비율

[reserve requirement ratio]

은행이 고객으로부터 받은 예금 중에서 중앙은행에 의무적으로 적립해야 하는 비율을 말한다. 흔히 줄임말로 지준률이라고 불린다. 지급준비율제도는 본래 고객에게 지급할 돈을 준비해 은행의 지급 불능 사태를 막는다는 고객 보호 차원에도 도입됐다. 그러나 요즘에는 금융정책의 주요 수단이라는 점에 더 큰 의의가 있다. 중앙은행이 지급준비율을조작함으로써 시중유동성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지급준비율을 높이면 중앙은행에 적립해야 할 돈이 많아져 시중의 유동성을 흡수하게 되고 낮추면 시중유동성이 확대된다.

이 같은 성격 때문에 한국은행의 지급준비율조작은 공개시장정책(각종 국공채를 팔거나 사는 것), 재할인(한은이 금융기관에 빌려주는자금의 이자율을 올리거나 내리는 것)과 더불어 3대 통화정책으로 불린다. 우리나라에선 과거 지급준비율이 통화신용정책에 자주 동원됐으나 최근엔 별로 활용되지 않고 있다.

  • 전유면적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 법률에 나오는 개념으로, 구분소유권자의 배타적 지배권이 미치는 면...

  • 자연환경보전지역

    자연환경·수자원·해안·생태계·상수원 및 국가유산의 보전과 수산자원의 보호 육성 등을 위하여...

  • 중국몽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실현하겠다는 야망을 말한다. ‘중국몽’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 전쟁채권[War Bonds]

    미국 하원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으로 ''전쟁채권(War Bonds)'' 발행 법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