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지니계수

[Gini's coefficient]

소득분배의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수치. 일반적으로 분포의 불균형도를 의미하지만 특히 소득이 어느 정도 균등하게 분배되어 있는가를 평가하는 데 주로 이용된다. 이탈리아의 통계학자 지니(C. Gini)가 제시한 지니의 법칙에 따라 나온 계수다. 가로축에 저소득층부터 인원의 분포도를 그리고 세로축에 저소득층부터 소득액 누적 백분율을 구하면 소득분배곡선(로렌츠곡선)이 나온다. 여기에 가상적인 소득분배균등선(45도선)을 긋는다. 이때 소득분배균등선과 종·횡축이 이루는 삼각형의 면적과 균등선과 로렌츠 곡선간의 면적비율이 지니 계수가 된다. 따라서 지니 계수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이 값이 0에 가까울수록 소득분배는 균등한 것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지니 계수가 0.4를 넘으면 소득분배가 상당히 불평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의 지니계수(2013년 기준)는 0.302로 전년(0.307)보다 떨어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평균 지니계수는 0.314(2010년 기준)다.

관련어

  • 준조세[quasi-tax]

    조세는 아니지만 실질적으로 조세와 같은 성질의 공과금이나 기부금 성금 등을 말한다. ...

  • 저녹스 버너

    저녹스버너는 연소 시 화염 온도 및 산소농도를 조절해 연소 효율을 높인 고성능 버너로 최대...

  • 장외파생상품

    파생금융상품시장은 장내시장과 장외시장으로 구분된다. 장내시장은 가격 이외의 모든 거래요소가...

  • 전자주민카드

    주민등록증, 주민등록 등·초본, 인감증명, 운전면허증, 의료보험증, 국민연금증서, 지문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