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식편입비율

 

주식형 펀드 자산 가운데 주식투자 비중이 현재 얼마인가를 나타내는 비율을 말한다. 주식형 펀드라고 펀드 자산을 모두 주식에 투자하는 것은 아니다. 채권이나 CP(기업어음), CD(양도성예금증서), 콜론 등에도 투자한다. 가령 1백 억 원짜리 펀드에서 주식에 50억 원을 투자하고 있다면 주식편입비율은 50%가 된다.

주식형 펀드는 주식편입비율에 따라 안정형(주식편입비율 30% 이하), 안정성장형(31~69% 이하), 성장형(70% 이상)으로 분류된다. 주식은 가격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주식편입비율이 높을수록 고위험·고수익 펀드에 가깝다고 보면 된다. 펀드매니저들은 주가 상승기에 편입비율을 높이고 하락기에는 편입비율을 낮추는 방식으로 투자위험을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주식편입비율은 항상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수시로 변하게 된다. 단 상품 약관에서 규정한 주식편입비율의 한도 내에서만 그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 제약이론[Theory of Constraints, TOC]

    조직 목표 달성에 제약이 되는 요인(constratint)을 집중적으로 개선해 단기간에 경...

  • 전사적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생산, 판매, 자재, 인사, 회계 등 기업 전 부문에 걸쳐 있는 인력, 자금, 정보 등 모...

  • 저점매수지수[Buy-On-Dips Confidence Index, BOD Index]

    기관 및 개인투자자들을 대상으로 다우 지수가 3% 이상 하락했을 경우, 다음 날 시장이 반...

  • 주당현금흐름[cash flow per share, CPS]

    현금흐름(Cash Flows)이란 장부상에 기록된 순이익 뿐 아니라 기업이 실제로 사용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