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조정 EBITDA

[Adjusted EBITDA]

정 EBITDA란 기본 EBITDA에서 일회성 비용이나 비경상적 항목을 제외한 수익성 지표다.

구조조정 비용, 소송 관련 지출, 인수합병 비용, 재해 손실 등을 조정 대상으로 한다.

기업의 핵심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지속가능하고 반복적인 현금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다.

투자자들이 기업의 실질적 운영성과를 더 명확히 평가할 수 있게 해준다.

사모펀드, 벤처캐피털, M&A 등 기업가치 평가에 널리 활용된다.

기업 간 비교분석과 미래 수익성 예측에 더 적합한 기준을 제공한다.

금융 계약상 부채 조항(debt covenant)의 기준으로도 자주 사용된다.

실무에서는 'one-off 항목 제외 EBITDA' 또는 'normalized EBITDA'로도 불린다.

  • 제휴카드

    종래 물품구매 기능만 있던 신용카드의 기능에 신분들이나 각종 회원증 기능이 추가돼여러가지 ...

  • 주당현금흐름[cash flow per share, CPS]

    현금흐름(Cash Flows)이란 장부상에 기록된 순이익 뿐 아니라 기업이 실제로 사용할 ...

  • 전지박

    전지박은 충전 후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2차 전지의 음극 부분에 씌우는 얇은 구리막. ...

  • 중간지주회사

    기존 지주회사의 지배를 받는 동시에 다른 사업자회사를 자회사로 거느리는 지주사를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