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조정 EBITDA

[Adjusted EBITDA]

정 EBITDA란 기본 EBITDA에서 일회성 비용이나 비경상적 항목을 제외한 수익성 지표다.

구조조정 비용, 소송 관련 지출, 인수합병 비용, 재해 손실 등을 조정 대상으로 한다.

기업의 핵심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지속가능하고 반복적인 현금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다.

투자자들이 기업의 실질적 운영성과를 더 명확히 평가할 수 있게 해준다.

사모펀드, 벤처캐피털, M&A 등 기업가치 평가에 널리 활용된다.

기업 간 비교분석과 미래 수익성 예측에 더 적합한 기준을 제공한다.

금융 계약상 부채 조항(debt covenant)의 기준으로도 자주 사용된다.

실무에서는 'one-off 항목 제외 EBITDA' 또는 'normalized EBITDA'로도 불린다.

  • 적합성 원칙

    자본시장법에서 정의되는 원칙의 하나로서, 고객파악제도(KYC)를 활용하여 파악된 자료를 기...

  • 장기계속공사

    총공사금액으로 발주하고 각 회계연도 예산범위내에서 계약을 체결하고 이행하는 형태. 따라서 ...

  • 주택수익비율[Price to Rent Ratio, PRR]

    임대료 수준에 비해 실제 주택가격에 얼마나 거품이 끼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주택매매가격을...

  • 자유계약선수[free agent, FA]

    소속팀에서 일정 기간 활동한 뒤 다른 팀과 자유롭게 계약을 맺고 이적할 수 있는 선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