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조정 EBITDA

[Adjusted EBITDA]

정 EBITDA란 기본 EBITDA에서 일회성 비용이나 비경상적 항목을 제외한 수익성 지표다.

구조조정 비용, 소송 관련 지출, 인수합병 비용, 재해 손실 등을 조정 대상으로 한다.

기업의 핵심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지속가능하고 반복적인 현금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다.

투자자들이 기업의 실질적 운영성과를 더 명확히 평가할 수 있게 해준다.

사모펀드, 벤처캐피털, M&A 등 기업가치 평가에 널리 활용된다.

기업 간 비교분석과 미래 수익성 예측에 더 적합한 기준을 제공한다.

금융 계약상 부채 조항(debt covenant)의 기준으로도 자주 사용된다.

실무에서는 'one-off 항목 제외 EBITDA' 또는 'normalized EBITDA'로도 불린다.

  • 지오 블로킹[geo-blocking]

    지역 별로 콘텐츠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차별하는 것을 말한다. EU에서는 온라인콘텐츠에 대...

  • 정전기[static electricity]

    정전기는 물체의 표면에 축적된 정지된 전하들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전하들은 ...

  • 재정위기

    재정은 정부가 세금으로 마련한 돈으로 일반행정비를 비롯하여 국방비, 교육비, 경제사업비, ...

  • 전국금융공작회의

    중국의 장기 금융정책을 결정하는 회의. 1997년 첫 회의가 개최된 후 5년 주기로 열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