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조정 EBITDA

[Adjusted EBITDA]

정 EBITDA란 기본 EBITDA에서 일회성 비용이나 비경상적 항목을 제외한 수익성 지표다.

구조조정 비용, 소송 관련 지출, 인수합병 비용, 재해 손실 등을 조정 대상으로 한다.

기업의 핵심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지속가능하고 반복적인 현금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다.

투자자들이 기업의 실질적 운영성과를 더 명확히 평가할 수 있게 해준다.

사모펀드, 벤처캐피털, M&A 등 기업가치 평가에 널리 활용된다.

기업 간 비교분석과 미래 수익성 예측에 더 적합한 기준을 제공한다.

금융 계약상 부채 조항(debt covenant)의 기준으로도 자주 사용된다.

실무에서는 'one-off 항목 제외 EBITDA' 또는 'normalized EBITDA'로도 불린다.

  • 적격대출[適格貸出]

    주택 구입자를 대상으로 한 장기고정금리 대출로 한국주택금융공사가 2012년 3월 도입했다....

  • 중간관리자[middle management]

    상급관리자에게 보고하는 완전 관리책임을 가진 관리자. 많은 조직에서 중간관리자는 부문관리자...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주로 4월부터 11월까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 ...

  • 전자결제[electronics settlement]

    어음·수표 등에 의한 장표방식결제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지급결제 절차가 장표 사용 없이 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