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크 본드
[junk bond]정크(junk)는 ‘쓰레기’를 뜻하는 말로, 그대로 해석하면 ‘쓰레기 같은 채권’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신용 등급이 아주 낮아 회사채에서 발행할 수 없는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다.
‘고수익 채권’ 또는 ‘열등채’라고 한다. 원리금 상환에 대한 불이행 위험이 크지만, 이자가 높은 고위험 고수익 투자 상품이다.
1970년대 미국 정크본드 시장의 대부로 불렸던 마이클 밀켄이 하위 등급 채권을 정크라고 부른 데서 유래했다. 당시 신용도가 높은 우량 기업이 발행한 채권 중 발행 기업의 경영이 악화돼 가치가 떨어진 채권을 가리켰다. 하지만 최근에는 성장성은 있지만 신용 등급이 낮은 중소기업이 발행한 채권이나 인수·합병(M&A)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한 채권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채권등급으로 치면 미국 양대채권평가기관인 무디스사의 신용등급이 B4이하이거나 스탠더드 푸어사의 등급이 BB이하인 채권을 말한다. 정크본드의 특징은 무엇보다 높은 이자율과 그에 상응하는 높은 위험도라 할수 있다. 한때 정크본드와 M&A로 미국 5대증권사에 올랐던 드렉셀사가 과도한 정크본드투자로 지난 1989년 파산한 전례가 있다.
-
중소기업 기반조성자금
신경제 5개년계획에 따라 정책금융을 정비하고 금융자율화를 촉진하는 한편 중소기업의 기반을 ...
-
자금대순환[Great Rotation]
국제투자 자금이 상대적으로 안전한 채권시장에서 빠져나와 위험 자산인 주식시장으로 이동하는 ...
-
지급보증[payment guarantee]
지급보증은 여러가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고자 할 때 회사의 신용이...
-
자본금회전율[capital stock turnover]
매출액을 자본금으로 나눈 횟수로 표시, 납입자본의 회전속도를 나타낸다. 자기자본회전율과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