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재정환상

[fiscal illusion]

납세자들이 각종 정부 서비스의 비용과 편익을 올바르게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한 상황을 말한다. 이것은 정부 서비스로부터의 편익이 무형이고 정부 서비스 비용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조세 또한 납세자들이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나타나는 착각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세를 내는 납세자는 자기가 부담하는 조세부담의 진정한 몫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 소비세의 부과는 물가상승을 수반하며, 따라서 실질소득이 감소하지만 납세자들은 이를 즉각적으로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실질세 부담을 과소평가하게 되어 공공재의 비용부담을 싼 것으로 생각, 그 결과 재정환상에 빠지게 된다.

  • 종가세·종량세

    종가세는 물건 가격의 일정 비율을 세금으로 매기는 반면 종량세는 물건에 특정 금액을 일괄 ...

  • 지소미아[韓日軍事情報保護協定, Korea-Japan General Security of Military Information Agreement, GSOMIA]

    지소미아(GSOMIA)는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을 일컫는 말로 박근혜 정부 때인 2016년 ...

  • 재건축동의율

    주민들이 재건축을 결의하는데 있어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사항이다. "집합건물의 소유 및 ...

  • 중질유분해 탈황시설[Bunker-C Cracking Center, BCC]

    원유를 정제할 때 생산되는 벙커C유를 100% 가까이 휘발유, 등·경유 등 경질유로 전환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