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자기자본순이익률

[net income to stockholders’equity]

당기순이익자기자본으로 나눈 것이며 투자된 자기자본의 효율적 이용도를 측정한다. 이 비율은 같은 기간의 정기예금 금리와 비교함으로써 주주는 자본의 효율성을 측정한다. 기업의 소유자인 주주는 경영활동의 성과가 주식가격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자기자본순이익률에 대하여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따라서 기업이나 주주의 입장에서는 수익성비율 중에서 자기자본순이익률이 가장 중요시된다. 이 비율이 낮은 경우 유상증자에 의한 자본조달이 곤란하게 된다.

  • 지속가능 항공연료[sustainable aviation fuel, SAF]

    기존의 석유 항공유를 대체하는 바이오 연료로 생산한 항공유를 의미한다. 주로 동식물성 기...

  • 직업보장[job security]

    직업을 상실하는 두려움으로부터의 해방을 뜻한다. 몇몇 전문적인 직업이나 고용활동은 다른 것...

  • 자원의 저주[resource curse]

    에너지 등 자연 자원이 풍부할수록 경제 성장이 둔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자연자원이 풍부해 ...

  • 정보기술협정[Information Technology Agreement., ITA]

    정보기술(IT)제품에 대해 세계무역기구(WTO) 회원국 간 관세를 철폐하기 위한 협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