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자기자본순이익률

[net income to stockholders’equity]

당기순이익자기자본으로 나눈 것이며 투자된 자기자본의 효율적 이용도를 측정한다. 이 비율은 같은 기간의 정기예금 금리와 비교함으로써 주주는 자본의 효율성을 측정한다. 기업의 소유자인 주주는 경영활동의 성과가 주식가격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자기자본순이익률에 대하여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따라서 기업이나 주주의 입장에서는 수익성비율 중에서 자기자본순이익률이 가장 중요시된다. 이 비율이 낮은 경우 유상증자에 의한 자본조달이 곤란하게 된다.

  • 조기경보

    조기경보란 보험사들에 대한 보험감독원의 일종의 ‘경고’다. 보감원은 매년 결산이 끝나면 크...

  • 조류 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AI]

    닭, 칠면조, 야생조류 등 여러 종류의 조류가 감염되는 전염성 호흡기 질환이다. 주로 닭과...

  • 집행임원

    이사회가 결정한 사항을 실무에서 집행하는 임원을 말한다. CEO나 CFO, CTO등이 이에...

  • 전고체 전지[solid-state battery]

    전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있는 전해질을 기존 액체에서 고체로 대체한 차세대 배터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