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이익비준방식

[comparable profit method]

이익비준방식은 신고된 외국기업의 이익률이 미국 내 동종업체의 평균이익률보다 현저히 낮을 경우 평균이익률을 과세기준으로 삼는 방식이다. 즉, 미국에서 영업하고 있는 외국기업들의 이전가격을 산정할 때 미국 내 동종업체의 평균영업이익률을 기준으로 이전가격의 적정여부를 판단해 세금을 물리는 방식이다. 이익비준방식은 미 국세청과 외국기업간 조세마찰의 불씨였는데 이것은 비교가능기업이 명확하지 않아서다.

따라서 미 국세청은 얼마든지 자의적으로 비교가능기업을 선정, 이 기업의 이익률을 기준으로 외국기업들의 이익을 추산해 세금을 매길 수 있다. 이 경우 최악의 상황에서는 미국에 있는 어느 외국기업체가 이익을 전혀 내지 못했는데도 다른 동종기업의 이익률에 근거한 세금을 납부해야 한다. 1980년대 중반 대우의 미국 현지법인인 대우 아메리카가 이 방식에 걸려 4천만 달러의 세금을 추징당한 것이 좋은 예이다.

  • 온라인게임[on-line game]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해서 즐기는 게임으로 MMORPG, FPS, 댄스게임, ...

  • 오프쇼어링[off-shoring]

    기업업무의 일부를 해외 기업에 맡겨 처리하는 것. 업무의 일부를 국내기업에 맡기는 아웃소싱...

  • 엔코더[encoder]

    모터의 회전속도·방향 등을 감지하는 융합 센서. 엔코더 성능이 안 좋으면 위치값이 큰 에러...

  • 역혼성단체[reverse hybrid entities]

    국내와 해외에서 법률적·세무적 해석이 다른 조직(단체). 한 조직이 해외에선 소득 등이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