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역진세

[regressive tax]

역진세는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세율이 낮아지는 세금이다. 즉, 소득이 적은 사람일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세율을 부담하게 됩니다. 역진세의 대표적인 예로는 부가가치세, 종합부동산세를 들 수 있다. 부가가치세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에 일정 비율을 곱하여 부과하는 세금으로, 소득과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동일한 세율을 부담한다. 따라서 소득이 적은 사람일수록 부가가치세에 대한 부담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역진세는 소득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세금 부과가 간편하고, 재정 수입을 확보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긍정적인 평가도 받고 있다.

관련어

  • 애프터 쇼크[After Shock]

    2006년 로버트·데이비드 위더머 형제와 신디 스피처는 공동 출간한 ''미국의 버블경제''...

  • 원화유동성비율

    만기 3개월 이내의 단기 부채나 예금에 대해 은행이 지급할 수 있는 자금을 얼마나 보유하고...

  • 애플레이션[applelation]

    "애플레이션"은 2024년 유행하는 신조어로 사과(apple)와 인플레이션(inflatio...

  • 연성차관[soft loan]

    상환기간이 길거나 금리가 낮아 차주에게 원리금 상환부담이 가벼운 차관. 상환기간이 1년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