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원화절상

 

달러나 엔화 같은 외화에 대해 원의 가치가 상승하는 것. 원화절상은 우리 경제에 부정적 영향과 긍정적 영향을 동시에 가져다 준다. 부정적 영향으론 먼저 우리 제품의 달러 표시 수출가격이 상승한다는 점이다. 원화가치가 상승하게 되면 수출기업이 이전과 동일한 금액의 달러 표시수출을 하고서 손에 넣는 원화금액이 줄어들게 된다. 이 경우 만약 수출기업이 예전과 같은 원화수입을 보장받기 원한다면 달러 표시수출가격을 절상분만큼 인상해야 한다.

수출가격 상승은 결국 수출물량의 감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원화절상의 긍정적 효과도 있다. 수입물가 하락으로 인한 물가안정이 그중 하나이다.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원화절상이 국내 물가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계산한 결과를 보면 1%의 원화절상은 국내 물가 전체(도매물가)를 0.28% 하락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 원화절상은 또 우리 기업의 외채상환부담을 줄이고 금융비용을 크게 경감시키기도 한다. 1년간의 외채원리금 상환액을 25억 달러로 볼 경우 1달러당 15원 정도의 원화절상은 3백 75억 원 정도의 금융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 웹TV[Web TV]

    방송사, 프로그램 제작사 등이 인터넷상에서 실시간으로 온라인 방송을 내보내는 서비스를 말한...

  • 앳킨슨지수[Atkinson index]

    사회 구성원의 주관적인 가치판단을 반영해 소득 분배의 불평등도를 관측하는 지수를 말한다.

  • 외환보유액[foreign exchange reserve]

    외환보유액은 한 나라가 비상사태에 대비해 비축하고 있는 외화자금을 의미한다. 국가의 비상자...

  • 워터마킹[watermarking]

    워터마킹은 디지털 미디어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기술이다. 워터마크는 로고,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