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환차익/환차손

[foreign exchange gain/loss]

외화 표시 자산이나 부채를 보유한 상태에서 환율 변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익 또는 손실을 의미한다.
환율이 자산 보유 시점보다 유리하게 변동하면 환차익(환율 차익)이 발생하고, 불리하게 변동하면 환차손(환율 손실)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1달러 = 1,300원일 때 1만 달러를 보유한 기업이, 환율이 1,400원으로 상승한 시점에 이를 원화로 환전하면 100만 원의 환차익이 발생한다. 반대로 환율이 1,100원으로 하락하면 100만 원의 환차손이 발생한다.

환차익과 환차손은 외화 자산을 보유한 개인, 수출입 기업, 다국적 기업 등에게 모두 중요한 요소이며, 환율 변동성에 따라 재무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기업 회계에서는 이를 영업외수익 또는 영업외비용으로 처리하며, 일부 기업은 환헤지(환위험 회피) 수단을 통해 변동성을 관리하기도 한다.

  • 허수성 매매주문

    체결 가능성이 낮은 가격에 대량으로 주문을 제출하거나, 직전가격 또는 최우선 호가의 가격이...

  • 화상회의시스템[video confernce system]

    다른 장소에서 회의를 하면서 TV 화면을 통해 음성과 화상을 동시에 전송받아 한 사무실에서...

  • 환경경영체제 인증[ISO14000]

    ISO에서 발행한 품질경영시스템(quality management system) 규격. 기...

  • 하이타오족[海淘]

    중국에서 온라인으로 해외 상품을 직접 구매하는 ‘중국의 해외 직구족’을 뜻한다. 글로벌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