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수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dex, EPU Index]

EPU지수는 신문기사 속 경제정책 관련 불확실성을 텍스트 데이터 분석으로 측정한 수치로, 경기·금융시장 변동성 등과 밀접하게 연동되는 경제 불안정성의 실시간 바로미터다.

미국 노스웨스턴대의 스콧 베이커(Scott Baker) 교수가 개발했다. 각국의 주요 신문과 경제 잡지를 뒤져 경제정책과 관련된 불확실성 키워드가 한 달에 얼마나 많이 언급됐는지 세어서 산출한다.

EPU지수가 높다는 건, 정치적으로 혼란스럽거나 정부 정책이 오락가락하거나, 국제 정세가 불안할 때 사람들이 느끼는 “앞날이 불확실하다”는 걱정이 그만큼 커졌다는 뜻이다.
그래서 EPU지수가 오르면, 기업도 가계도 “일단 지갑을 닫자”는 심리가 강해진다.
이 점이 기존의 소비자신뢰지수 같은 간접지표와 다르다. EPU는 오로지 “정책 불확실성”에 집중한다는 게 특징이다.

한국을 비롯해 여러 나라에서 이 지수는 경기 변동, 금융시장 불안, 실업률 등과 밀접하게 엮여 분석된다. 경제정책을 만들거나 시장에 대응할 전략을 짤 때 중요한 참고자료가 되는 셈이다.
요즘은 “경제가 어디로 갈까?” 궁금할 때마다 실시간으로 EPU지수를 보는 게 전문가들 사이에선 기본이 됐다.

  • 경정청구

    법정 신고기한 내에 세금을 냈지만, 부당하게 세금을 더 냈거나 잘못 낸 경우 돌려달라고 요...

  • 구글 I/0[Google I/O]

    구글의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매년 세계 각국의 개발자들이 모여 다양한 신기술에 대해 의견...

  • 국제상품협정[international commodity agreement, ICA]

    국제시장에서 상품가격이 지나치게 변동하지 않도록 생산국과 소비국 간에 생산량이나 가격을 조...

  •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

    기업활력법은 2016년 8월 공급과잉으로 동반 부실 위험에 처한 기업의 사업 재편을 지원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