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사슬
[chain-of-thought]생각의 사슬은 인공지능이 최종 답변에 도달하기까지의 추론 과정을 단계별로 명시적으로 보여주는 프롬프팅 기법이다. 이는 AI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때 중간 사고 과정을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함으로써, 단순한 결과값만 제시하는 것이 아닌 사고의 흐름을 드러내는 방식이다.
"인공지능의 머릿속을 들여다보다."
2022년 구글과 스탠퍼드 연구진이 발표한 '생각의 사슬' 기법은 AI가 어떻게 결론에 도달하는지 그 과정을 투명하게 보여주는 획기적인 방법론이다. 이는 단순히 기술적 진보를 넘어 AI 민주화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다. 그동안 전문가들만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AI의 판단 과정이 일반 시민도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제시됨으로써, 기술에 대한 사회적 감시와 통제 가능성이 열린 것이다. 특히 의료, 법률, 금융 등 중요한 의사결정이 필요한 분야에서 AI의 판단을 맹목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비판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2023년 11월 서울대 인공지능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생각의 사슬 기법을 적용한 AI는 수학 문제 해결에서 기존 방식보다 정확도가 40% 이상 향상됐다. 2024년 3월 발표된 MIT와 구글의 공동 연구에서는 '자기 수정 생각의 사슬(Self-correcting Chain-of-Thought)'이라는 발전된 형태가 소개되어, AI가 자신의 추론 과정에서 오류를 발견하고 스스로 수정하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시민단체 '알고리즘 정의를 위한 연대'는 이 기술을 활용해 공공기관의 AI 의사결정 시스템을 감시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교육 분야에서는 학생들이 AI의 사고 과정을 따라가며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새로운 학습 방법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다만 일부 연구자들은 AI가 제시하는 '생각의 사슬'이 실제 내부 연산 과정과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를 '합리화된 설명(rationalized explanatio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는 AI 투명성에 대한 더 깊은 사회적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관련어
- 참조어보상 해킹
-
서울시교육감
서울시내 교육을 관할하는 교육 수장이다. 서울시교육청의 한 해 예산 6조원을 쥐고 있는 막...
-
신뢰수준[confidence level]
신뢰 수준 95%는 해당 여론조사를 95% 믿을 수 있다는 뜻이 아니라 같은 조사를 100...
-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육성 사업[World Class University]
세계 연구 역량이 높은 우수 해외학자를 유치ㆍ활용하여, 국내 대학의 교육ㆍ연구경쟁력을 세계...
-
세계한인벤처네트워크[International Network of Korean Enterpreneurs, INKE]
세계 49개국에 79개 지부, 1000여명의 회원을 둔 한인 벤처기업들의 네트워크. 200...